사기 예방 교육
다양한 사기 유형을 이해하고 예방 방법을 학습하여 안전한 거래 환경을 만들어가세요
주요 사기 유형
알아두면 피할 수 있는 대표적인 사기 수법들입니다
금융기관이나 공공기관은 절대 전화로 계좌번호나 비밀번호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주요 사례:
- •검찰을 사칭한 전화
- •금융기관 직원을 사칭한 대출 권유
- •가족 납치 사칭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의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마세요
주요 사례:
- •택배 배송 안내 사칭
- •카드 사용 내역 확인 요청
- •과태료 납부 안내
지인이 돈을 요구할 때는 반드시 전화로 직접 확인하세요
주요 사례:
- •지인 사칭 송금 요청
- •긴급 상황 사칭
- •계좌번호 변경 안내
금융거래 시 주소창의 URL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주요 사례:
- •은행 사이트 위조
- •쇼핑몰 사이트 위조
- •공공기관 사이트 위조
중요한 파일은 정기적으로 백업하고, 출처 불명의 파일은 실행하지 마세요
주요 사례:
- •이메일 첨부파일 감염
- •불법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 •USB 감염
원금 보장, 고수익 보장 등의 말은 사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요 사례:
- •가상화폐 투자 사기
- •주식 리딩방 사기
- •다단계 투자 사기
안전거래 시스템을 이용하고, 직거래가 어려운 경우 의심하세요
주요 사례:
- •선입금 후 잠적
- •택배비 추가 요구
- •가품 판매
예방 수칙
사기를 예방하기 위한 필수 수칙들입니다
너무 좋은 조건이나 긴급한 상황을 강조하는 경우 의심하세요
금전 요구 시 반드시 공식 채널을 통해 직접 확인하세요
계좌번호, 비밀번호, 인증번호 등은 절대 타인에게 알려주지 마세요
중고거래 시 플랫폼의 안전거래 시스템을 이용하세요
금융거래 시 웹사이트 주소가 정확한지 확인하세요
최신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세요
피해 발생 시 대응 방법
사기 피해를 입었다면 다음 단계를 따라 신속히 대응하세요
사기가 의심되면 즉시 대화를 중단하고 송금을 멈추세요
경찰청 사이버안전국(182) 또는 금융감독원(1332)에 신고하세요
피해 계좌를 금융기관에 신고하여 지급정지를 요청하세요
Trust the Doubt에 신고하여 다른 사용자들을 보호하세요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182
금융감독원
1332
한국인터넷진흥원
118
피해 계좌 지급정지는 금융기관 고객센터 또는 경찰청 사이버안전국(182)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